요 몇일 사이에 우리 클럽 게시판에 접속 했다가 'Spyware' 때문에 낭패를 본 양반 들이 더러 있는 모양이다. 이 YB도 그 중 한사람.. 아직도 '그놈- Antivirus XP 2008?'과의 힘겨운 한판승부에서 전과를 올리지 못하고있다. 인터넷 신문에 보니 800여개의 게시판 site가 '이 놈'의 공격을 받아 악성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다는 뉴스가 나오더군요, 원..

이 YB가 우리 클럽의 명망 높은 DXer이신 CBX OM의 주옥같은 게시판 글에다가 경망스러운 댓글로 그 냥반의 속을  좀 긁어 놓았는데.. 그 벌로 게시판이 이 YB를 공격 한 것이 아닌가 해서 반성도 해 봅니다만..ㅎㅎ, 각설허고, 본론으로 들어가서,

-----------------
근래에 도착된 QST 7월호의 ‘Product Review'난에는 새로운 개념의 무전기인 'SDR'형의 ’FLEX-5000' 시리즈가 소개되고 있다. 'SDR'이 뭐시여? SDR은 ’Software Defined Radio‘의 약자로서, 눈치 채셨것지만, 컴퓨터 software에 의해서 작동되는 무전기라고나 할까.. 그러니까 무전기라고 생긴 것에는, 단지 Mic(또는 Key) 입력 및 안테나 연결 부위, 그리고 신호 입출력과 관련이 있는 Hardware만 있을 뿐 나머지는 모두 컴에서 처리를 해 주는 방식이다.

'SDR'이라는 개념의 무전기가 등장 한 것은 극히 최근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. 기억 하실런지 모르겠으나, 지금으로부터 10여년 전인 1998년도에 이미 ‘Kachina 505DSP'라는 모델의 SDR 개념의 무전기가 등장 했었다고 한다. 컴퓨터 분야의 눈부신 발달과 함께 hardware와 soft- 및 firmware가 어우러진 무전기의 등장은 어쩌면 필연적 이었는지도 모르겠다.

그러나 10년 전의 Kachina 회사의 장담에도 불구하고(성공 할 것이라는), 10년이 지난 지금 Kachina 무전기는 아마추어무선 시장에서 이미 사라졌고, 이 새로운 개념의 SDR 기술도 우리 곁에서 멀어지는 듯했다.

Kachina의 실패는, 오늘날 대부분의 무전기 회사들이 잘 확립된 무선기술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기능이 향상되고 폼(?)나는 형태의 무전기를 개발 해 왔기 때문이다. 여기에 더하여, 사용자들은, 키보드나 마우스 보다는, 직접 손잡이를 조작해서 작동하는(human user interface) 무전기에 익숙해져 있었다는 것이다 - 쫌 유식한 말로 HAM들은 여전히 ‘knob mentality'를 고집하는 경향이 있었다고나 할까..

이런 상황임에도 ‘FlexRadio Systems' 회사는 2005년에 ’SDR-1000‘ 이라는 모델의 SDR 무전기를 시장에 슬쩍 내 놓았고, 근래에는 아날로그 기술에 디지탈 기술을 접목시켜 기존의 전통적인 무전기 기능을 훨씬 능가하는 ’FLEX-5000‘ 시리즈를 개발하여 SDR 무전기 분야의 선두주자로 나서고 있다. FLEX 시리즈의 SDR 무전기의 성공여부가 주목되고 있는 시점이다.

---------
주요 사양
---------
사용주파수: 수신, 0.01-65 MHz; 송신, 모든 아마추어 밴드(6 m 포함)
전원: 12.4 - 15.2 V, 수신시 1.5A; 송신시 25A(최대)
모드: SSB, CW, AM, FM, FSK, AFSK
출력: HF 및 6 m - SSB, CW, FM, 100 W; AM, 25 W
CW keyer: 1-60 wpm
크기: 9 x 9.3 x 12.4 in; 13 lb
가격: FLEX-5000A 99
-------------------
여기에 화려한 DSP (Digital Signal Processing) 기능이 있는 것은 은 말할 필요도 없고.. 그나 가격이 만만치가 않구만..